3G/4G 공유기 모드를 통한 LTE 게이트웨이 공유기에서 원격 관리를 할 수 없을 때 어떻게 문제를 해결합니까?
1단계: 고급->상태 페이지에서 4G 인터넷 IP 주소를 확인하여 사설 IP 주소인지 공용 IP 주소인지 확인합니다.
4G 인터넷 IP 주소가 실제 공용 IP 주소인 경우, 2단계로 이동하세요;
하지만, 실제 IP 주소가 아닌 경우, SIM 카드만 사용하기 때문에 SIM 통신사 측에 또 다른 NAT 제품이 전면에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. 이러한 경우, 원격 관리 또는 포트 포워딩과 같은 다른 기능은 정상적으로 작동하지 않습니다. SIM 카드 통신사에 문의하여 공용 IP 주소를 얻을 수 있는지 확인해야 합니다.
공용 IP 주소를 확인하는 방법:
1) 사설 IPv4 주소는 다음과 같은 클래스 구성이 있습니다:
클래스 A IP 주소: 10.0.0.0 ~ 10.255.255.255
클래스B IP 주소: 172.16.0.0 ~ 172.31.255.255
클래스 C IP 주소: 192.168.0.0 ~ 192.168.255.255
2) 위 3개의 클래스의 사설 IP주소 외에도 공용 IP 주소처럼 보이지만 CGNAT(Carrier Grade NAT) 주소와 같은 다른 범위의 IP 주소가 있습니다. 주소의 범위는100.64.0.0 ~ 100.127.255.255이며 실제 공용 IP 주소가 아닙니다.
3) 또는 LTE 공유기에 연결된 클라이언트 장치의 “https://www.whatismyip.com/” 웹사이트에서 실제 공용 IP 주소를 확인한 다음, 웹 인터페이스의 상태 페이지에 표시된 4G 인터넷 IP와 비교할 수 있습니다. IP 주소가 동일하다면, LTE 공유기의 4G 인터넷이 실제 공용 IP 주소라는 것을 의미하며 그렇지 않은 경우, LTE 공유기의 4G 인터넷이 사설 IP 주소 또는 CGNAT 주소라는 것을 의미합니다.
2단계: 원격 관리 설정이 올바른지 확인합니다.
자세한 구성을 위해 아래 FAQ를 참고하세요:
TP-Link 무선 N 4G LTE 공유기의 로컬 및 원격 관리 규칙은 어떻게 구성합니까(신규 UI)?
3단계: 웹 인터페이스에 원격으로 접속할 시 올바른 주소를 입력했는지 확인합니다.
올바른 주소는 “http://Internetip:port” 또는 “https://Internetip:port”. 여야 합니다.
기본적으로 http용 포트는 80이며 https용 포트는 443으로 두개 모두 기본 포트인 경우, 주소 끝에 포트를 입력할 필요가 없지만, 포트를 다른 포트로 변경한 경우, 주소 끝에 포트 번호를 추가해야 합니다.
4단계: 인터넷 IP 주소가 고정이 아닌 경우 DDNS를 구성합니다.
원격 관리가 처음에는 작동하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동일한 주소로 액세스할 수 없는 경우에는 인터넷 IP 주소가 변경되었는지 확인하고, 변경되었다면 동적 인터넷 IP 주소를 고정 DDNS 도메인 이름에 바인딩하도록 DDNS 기능을 구성할 수 있습니다. 아래는 DDNS에 대한 구성 설명입니다:
No-IP DDNS, DynDNS, TP-Link DDNS
사용자의 공유기가 지원한다면 이 중 하나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.
참고: DDNS 구성 후에 “http or https://domain name:port”를 사용하여 웹 인터페이스에 원격으로 접속할 수 있습니다.
5단계: TP-Link 기술 지원팀에 문의합니다.
문제 해결 후에도 원격 관리가 여전히 작동하지 않는다면 TP-Link 기술 지원에 연락하여 아래와 같은 세부사항을 공유합니다:
1. 모델 번호, 하드웨어, 펌웨어 버전
2. 고급->상태 페이지 및 원격 관리 설정 페이지의 스크린샷
3. 웹 인터페이스에 원격으로 접속을 시도한 주소 및 스크린샷
각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자세한 내용을 확인하려면 다운로드 센터에서 제품 설명서를 다운로드하세요.
해당 FAQ가 유용했나요?
여러분의 의견은 사이트 개선을 위해 소중하게 사용됩니다.